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1

기초노령연금(기초연금) 감액 없이 100% 수령받는 4가지 방법 우리나라는 OECD 노인층 빈곤율 1위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노년층의 빈곤문제 해결 및 안정된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지급하는 연금을 '기초연금'(기초노령연금)이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기초노령연금' 이라고 불렸지만 오늘날에는 '기초연금'이 맞는 표현입니다. 기초연금 수급 자격 및 신청 방법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연금 대상자는? ○ 만 65세 이상 ○ 한국 국적의 국내 거주자 ○ 소득 인정액 기준 충족 (소득하위 70%) ○ 단독가구 : 202만원 ○ 부부가구 : 323만 2000원 기초연금 소득 인정액이란? 소득 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소득 인정액 ㅇ 소득 평가액={0.7X(근로소득-108만 원)}+기타소득[사업소득, 공적이전소득, 무료 임차소득, 재.. 2023. 2. 14.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시 '이것' 꼭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과 근로의욕을 상실한 청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한 제도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인원이 기존 10만 명에서 17만 1,000명으로 확대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사업을 총괄하고 있으며, 청년 본인 저축액에서 근로소득장려금과 추가 지원금이 더해져서 지원금이 지급이 된다고 참고하시면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 청년내일저축계좌 납입 기간은 3년이고 납입금은 월 10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입니다. 그리고 기초수급자와 차상위 이하일 경우 지급되는 정부지원금은 월 30만원 입니다. 수급자 및 차상위 초과이면 월 10만원이 지급됩니다. 그리고 전자의 경우 만기 후 평균 수급액은 1,440만원에 플러스 알파가 적용되고 후자는 만기 후 평균 수급액은 720만원에 플러스 알.. 2023. 2. 13.
2023년 차상위계층 조건 혜택 잘모르는 '이것' 까지 총정리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초생활 수급자에 대해서는 다들 알고들 있습니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차상위계층에 대해서는 다들 잘 모르고 있기도 합니다. 쉽게 말해서 기초생활 수급자에 해당되지는 않지만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따졌을 때 중간층에 있는 분들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기초생활 수급자 혜택까지는 못 받겠지만 다른 지원이나 혜택을 받을 수도 있으니 해당 되는지 잘 알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그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 소득을 순서대로 배열했을 경우 중간에 위치한 가구 소득으로서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전년도 대비 물가 상승과 급여 상승 등을 반영해서 발표합니다. 즉 우리나라 기준으로 4명 중 1명이 해당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간단 요약 ● 빈곤층 : 기준 중위소.. 2023. 2. 7.
2023년 새롭게 바뀌는 정책 및 제도 총 50가지 중 25가지 2탄 2023년에는 2022년과는 달리 새롭게 달라지는 것들이 많은 한 해가 될 거 같은데요. 바뀌는 50가지 중 2탄 25가지를 준비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새롭게 바뀌는 것들 착오송금 반환 ㅇ.5만원이상 착오송금 ㅇ.1천만원➡️5천만원 한도 ㅇ.예금보험공사 지하철.버스통합 정기권 활인 ㅇ.30일간 60회 ㅇ.최대38%할인 이자소득세(세금우대) ㅇ.예금 3000만원 한도 ㅇ.1.4%(22년)➡️5.9%(23년) 자녀장려금 ㅇ.18세미만 부양자녀 ㅇ.소득요건(연간 4천만원이하) ㅇ.재산요건(2억이하➡️2.4억이하) ㅇ.1인최대(70만➡️80만원) 근로(소득)장려금 ㅇ.재산요건(2억이하➡️2.4억이하) ㅇ.단독가구(150만➡️165만원) ㅇ.홑벌이가구(260만➡️285만원) ㅇ.맞벌이가구(3.. 2023. 1. 30.